
우리가 흔히 목디스크라고 부르는 경추추간판 탈출증은 목뼈, 즉 경추와 경추 사이의 추간판(디스크) 사이로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근이나 척수를 눌러 생기는 것입니다.
이때 주로 뒷목이나 어깨 상부의 통증, 손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척수신경을 압박하여 신경손상을 유발함으로써 감각저하, 대소변 기능 장애, 보행장애, 하반신 마비 등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목디스크는 사고에 의한 발생보다 생활습관으로 인한 발생빈도가 훨씬 높기 때문에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목디스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자세는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입니다.
올바른 자세를 갖도록 합니다.
목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는 모든 자세를 자제하도록 합니다.
컴퓨터를 장시간 하거나 오랜 시간 TV를 볼 때와 같이 장시간 한 자세를 취할 때는 한 시간에 한번 정도 스트레칭을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책을 보거나 컴퓨터 모니터를 볼 때 머리가 앞으로 나오거나 머리를 숙이는 자세를 오랫동안 하지 않도록 합니다.
올바른 베개를 사용합니다.
너무 높거나 낮은 베개는 목디스크를 유발하고, 목·어깨근육의 경직으로 인한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베개의 높이는 10cm 정도의 낮은 베개를 사용하고 편편한 자세로 눕는 습관을 가지도록 합니다. 한쪽으로 누워서 자는 습관은 목척추관절에 압박을 주며, 어깨관절로도 혈액순환을 저해하여 목척추관절 및 어깨관절의 염증을 유발하고 목디스크와 유사하게 목과 어깨통증과 팔저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레이저와 간섭파 등 여러가지 최신 물리치료가 있습니다.

선택적 신경근차단법
통증의 원인이 되는 척수 신경의 뿌리에 약물을 투여하여 치료합니다.
경막외강신경차단법
척수 신경을 둘러싸고 있는 막이 형성한 경막외강을 통하여 약물을 투여하는 치료방법입니다.
척추관절주사
척추뼈 사이에도 관절이 있습니다. 갑자기 목을 돌리기 힘들게 목과 어깨부위에서 통증이 오거나 목을 삐끗한 것 같은 통증이 있을 때가 목척추관절에서 염증이 일어난 상태이며, 척추관절주사는 관절의 염증을 없애주어 통증을 경감시킵니다.
척추신경성형술
유착박리술과 신경감압술로 척추의 통증을 완화시켜 줍니다.